[창업] 돈 버는 방법, 돈 버는 쉬운 창업, 돈돈돈
1. 유튜브를 도배하는 온갖 돈 버는 방법, 창업에 관한 영상을 보았는가
다양한 경험의 사람들이 뛰쳐나와 한 달만에 몇 백, 일 년만에 몇 억을 번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사람들은 천운 같은 기회를 붙잡고 취직에 성공한 뒤, 이러한 내용을 접하며 자괴감에 빠지기 시작한다.
본인의 근로소득으로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부동산을 따라잡을 수도 없으니 더더욱 다른 방향을 쫓기 시작한다.
미친듯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개인 셀러로서 도전하고 디지털 노마드, 파이어 족을 외치며 일하지 않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몰두한다. 여러가지 side job에 찔러보려다가 머뭇하고 주저하며 결국 손 쉬운 주식 차트를 보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천운 같은 기회를 붙잡고 취직에 성공한 뒤, 이러한 내용을 접하며 자괴감에 빠지기 시작한다.
본인의 근로소득으로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부동산을 따라잡을 수도 없으니 더더욱 다른 방향을 쫓기 시작한다.
미친듯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개인 셀러로서 도전하고 디지털 노마드, 파이어 족을 외치며 일하지 않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몰두한다. 여러가지 side job에 찔러보려다가 머뭇하고 주저하며 결국 손 쉬운 주식 차트를 보기 시작한다.
2. 그렇다면 실제 돈을 버는 방법은 어떤 것인가.
프랭크 나이트의 the wealth report 2021에 의하면 한국 상위 1%의 순자산은 13억원 인것으로 나타났다.
즉, 빚 없이 강남에 집 1채만 갖고있어도 대한민국 상위 1%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20년에 나온 자산형성수단에 관한 내용을 보면 사업소득 31%, 부동산 25%, 상속-증여 19%, 근로소득 15%, 금융투자 9%로 나타났다.
저번 18년 조사에서는 1위 부동산, 2위 사업소득, 3위 상속증여 였으나
20년에는 1위 사업소득, 2위 부동산, 3위 상속증여로 변화가 생긴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사람들이 부동산과 사업소득에 미친듯이 몰두할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근로소득을 보자면, 상위 10%에 들어가려면 연 5200만원, 상위 1%의 경계값은 대략 1.3억원 정도이다.
상속보다도 못한 근로소득에서조차, 상위 10%에 들어가려면 연 5200만원을 받아야한다니.
3. 그렇다면 대다수는 어떻게 행동해야하는가
통계적 내용을 정말 단편적으로 해석하자면,
일단 부모님을 잘 만나는 것이 아무런 리스크 없는 가장 효율적이고 강력한 재산 형성수단이다.
그 다음에 사업 혹은 부동산을 해야하는데, 부동산은 자본금이 없으니 일단은 논외로 치고 사업에 도전하는 것은 어떤가
2020 금감원에 따르면 청년층의 창업 후 3년 이내의 단기 폐업 비중은 55%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기야 사업에 필요한 마케팅, 회계학, 재무관리, 생산관리, 경영전략, 계량분석, 조직행동론 등의 지식이 청년층에게 있을리가 없다.
(저 지식은 mba에서 가르치는 학문의 카테고리들로, 사업을 하는데 정말 아주 기본적인 지식이다. 물론 몰라도 성공할 수는 있다. 그러한 사람들도 충분히 많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폐업률을 보고 실제로 사업에 실패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저런 공짜지식을 미리 알아두는 것은 절대 손해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된다.
치킨 값을 아껴서 겉핡기로라도 1~2만원짜리 mba 서적을 구매해 읽어보는 것이 사업에서 과정상 실수로 몇십만원 날리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고 효과적이다.)
기똥찬 아이디어나 기술력이 청년층에게 있을리도 무방하다.
애초에 스티브잡스 혹은 일론 머스크, 빌게이츠 등의 일생을 보면 알겠지만 부모님의 영향 등으로 어릴적부터 해당 분야의 기술에 관심이 지대했고, 어느정도 능력이 있었다.
그것을 남들에게 팔 수 있을만큼.
(다만 그냥 남들하는 것처럼 대학에 따라들어갔다가 실망해서 나간 것일 뿐이다.)
결국 어릴 적에 남들만큼 놀았고 비슷한 관심사를 공유했다면, 그리고 남들과는 다른 특출난 선구자적 시선이나 능력이 없다면,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그 능력을 만들 수 있는 곳은 직장이다. 나만큼 뛰어난 사람들을 만날 수 있고,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기술 개발에 대한 시초를 엿볼 수 있으며, 어떻게 운영해야하는가 배울 수 있는 곳.
다들 알 듯이 평생 직장의 개념은 사라졌다.
직장에서 배울 수 있을만큼, 기술을 개발시키고 사람들을 만나서 최대한 모든 것을 기업에서 배우고 뽑아내야한다.
그 후 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방식으로 보인다.
(이나모리 가즈오, 마윈 등 아시아 계열에선 상대적으로 흔히 보이는 패턴)
근로소득을 무시해도 좋으나, 근로 자체를 무시하지는 말자.
온실 속 화초 라는 말이 좋게 들리지는 않지만, 실제로 온실이 주는 강력한 안정감과 좋은 환경에서 본인이 주도적으로 흡수해나가고 성장해나간다면 온실 밖을 나갔을 때 무시하지못할만큼 자라나있을 것이다.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팁] 운전면허 취득 과정 A부터 Z까지, (운전면허 따는 법) (0) | 2021.04.11 |
---|---|
[학습]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1. hello! world! (0) | 2021.04.10 |
산모 c-sec case (0) | 2021.02.19 |
생리, 2 cell 2 gonadotropin theory (0) | 2021.02.19 |
분만 기준점 (0) | 2021.02.19 |
[창업] 작은 아이디어를 큰 기업으로
창업을 준비하다보면 굉장히 난감할 때가 많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이 아이디어만으로 사업체를 세울 수 있을지, 주변의 만류에는 자꾸만 마음이 요동친다.
그럴 때는 더더욱 창업준비를 탄탄히 해놓아야한다. 아무리 획기적인 아이디어와 마케팅이 있더라도 실패하는 회사는 부지기수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준비를 철저히 해놓을수록 실패할 확률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고민만으로는 결국 해결할 수 있는게 없다. 실체적으로 내 눈에, 손에 남아있는 결과물을 꾸준히 축적해놓아야 시도를 하든, 포기를 하든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세계 100대 부자에 뽑힌 이들 중 젊은 it 기업가들이 속속들이 늘고 있다. 즉, 산업 구도가 기존의 디트로이트로 대변되는 철강, 자동차, 화력 등의 생산업체에서 실리콘밸리의 it, 기술, 아이디어, 서비스 업체 위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보았을 때, 그리고 실제 창업 준비를 해보았을때 알수 있듯이 초기 사업자가 it가 아닌 다른 분야로 창업을 준비하기는 쉽지않다.
공장 혹은 물류 쪽은 본인만의 공간, 어느정도의 설비 투자가 이루어지지않고서는 제대로 실행하기가 쉽지 않다.
또 이러한 설비투자 후에 만일 상품이 먹혀들지않는다면 그 모든 투자물품은 싼 값의 중고시장에 다시 가게된다.
즉, 초기 비용이 낮고 기술과 아이디어로 승부할 수 있는 it 기업이 상대적으로 실패 했을 때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에어비엔비는 초기에 본인 아파트의 간이침대 3개를 임대하였고 현재 가진 부동산은 없으나 세계 1위 힐튼호텔과 비슷한 기업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외 우버, 클라우드 서비스인 box, 넷플릭스 등 무언가의 사소한 불편함, 그러나 아무도 해결하고 싶어하지는 않은 문제점을 찾아내 이를 실제적인 물질이 아닌 it 기술만으로 해결해낸 기업들이 있다.
[리뷰] 참미푸드 야전식량 제육볶음맛
육해공 야전식량 제육맛비빔밥
COUPANG
www.coupang.com
키워드: 다이어트, 혼자 사는, 자취생, 가성비, 저렴한, 식사대용, 편리함, 간단함
350칼로리 남짓한 저칼로리에 맛도 괜찮다. 특히 참기름이 동봉되어있어 고기, 볶음밥 등이 생각날때 대용으로도 괜찮다.
취사시간은 써있는것과는 달리 더 빠른데, 끓인물 대략 5분, 찬물은 35분 정도 걸린다.
올때 수저도 같이 배송와서 편리함. 이중으로 뜯게 되어있어 물 넣을때와 먹을때 각각 편리함이 있다.
가격대도 굉장히 저렴하다.
단점은 그나마 꼽자면 나트륨함량이 아닐까. 또 약간 양에 부족함이 있을 수 있어 계란후라이 하나 정도면 딱 알맞는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